메타버스 플랫폼 1장 "로블록스 (Roblox)"
로블록스 (Roblox)
https://www.roblox.com/
Roblox
Roblox는 차세대 엔터테인먼트의 선두 주자입니다. 수백만의 회원과 함께 다양하고 흥미진진한 사용자 생성 3D 세상에서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체험을 제작하고 방문해 보세요.
www.roblox.com
로블록스 (Roblox) 개요 및 성장과정
1989년 처음 등장한 뒤 2004년 공동 설립자 데이비스 바수 츠키와 에릭 카셀에 의해 원래 다이나 블록스(DynaBlocks)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바수 츠키는 그해 첫번째 데모 테스트를 시작했으며, 2005년에 회사 이름을 로블록스로 변경하고 2006년 9월에 공식적으로 로블록스가 출시되었습니다.
로블록스는 2010년대 하반기에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2011년 12월에 개발자가 회사에 제공할 새로운 개발을 위한 외부 아이디어를 작업하는 연례행사인 첫 번째 “핵 위크(Hack Week)”를 개최했습니다.
2012년 12월 로블록스의 iOS 버전 출시, 2014년 7월 안드로이드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2013년 10월에는 게임에서 얻은 로벅스를 실제 통화로 교환할 수 있는 개발자 교환 프로그램 (DevEx) 까지 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2020년대에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2021년 3월에는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고, 7월에는 국내 소비자층을 넓히기 위해 국내 법인도 설립하였습니다. 월 1억 5000만 명이상의 활성 사용자를 만들어 내면서 2021년 5월에는 570만 명이라는 최대 동시접속자를 달성하였습니다. 로블록스는 화려한 그래픽이 적용되지도 않았고, 어떻게 보면 유치해 보이기도 하는 게임입니다. 그러나 이 회사가 인정받은 기업 가치는 371억 달러, 약 42조 원에 가까웠습니다. 미국의 경우 16세 미만 아이들 절반 이상이 여기에 가입을 했고 하루 평균 쏟아붓는 시간은 156분으로, 페이스북과 유튜브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지난 1분기 결제 금액만 해도 6억 5,230만 달러(약 7,300억 원)로, 하나의 메타버스 플랫폼으로서 이미 자리를 잡았습니다.

로블록스 (Roblox) 특징
로블록스는 무료로 다운로드 하여 플레이 하거나 로블록스 스튜디오(Roblox Studio)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고 자신이 만든 게임을 다른 사용자가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현재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제작된 대부분의 게임은 미성년자들이 개발했으며 이를 사용하여 연간 총 2천만 개의 게임이 제작된다고 합니다. 다양한 유저들이 만든 게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로벅스(Robux)를 지불하고 입장권을 구입해야 합니다. 여기서 로벅스(Robux)는 로블록스 내에서 사용하는 화폐이며, 최소 25 로벅스부터 최대 1000으로 벅스까지 입장료가 있습니다. 한화로 500 ~ 14000원 정도 합니다.
2017년 1월에는 장난감 제작사 재즈 웨어즈(Jazwares)와 콜라보하며 플랫폼에서 미니 피규어를 제작했습니다. 미니 피규어에는 레고 미니 피규어와 비슷한 팔다리와 관절이 있으며 크기는 약 8cm로, 레고 피규어의 약 두배입니다. 탈부착과 교체가 가능한 팔다리와 액세서리가 있고, 세트에는 가상 아이템을 교환할 때 사용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무작위 미니 피규어가 들어있는 블라인드 상자도 있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성장하면서 로블록스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로블록스는 게임을 제작하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즉, 사용자는 개발자와 플레이어로 나뉘게 됩니다. 개발자들에게 적용되는 규칙은 환경을 제공하는 로블록스에서 규정해야 하지만 실질적으로 게임 내 질서를 확립하기엔 부족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개발자가 게임패스가 없으면 게임이 불가능한 환경을 만들어낼 경우, 사용자는 게임패스를 구매해야만 해당 게임을 즐길수있습니다. 성인 게이머에게는 이와같은 환경이 선택적 상황이므로 로벅스를 구매하는 것에 대한 판단력이 생겨서 게임패스를 무리해서 구매하는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린이들에게는 위와같은 분별력을 요구하기는 어렵습니다. 나아가 게임을 쉽게 해결할 수 있거나 다른 친구들이 하지 못하는 게임을 해낼수 있다는 것만으로 무분별하게 게임패스를 구매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해커가 500달러로 로블록스 운영진을 매수해 운영진 권한을 이용해서 로블록스의 모데레이팅 시스템을 폭로 해버렸습니다. 운영진 권한으로는 유저의 프로필 조회부터, 각종 거래/지불 내역 조회, 유저 인벤토리 확인/편집, 로벅스 지급/회수 같은 것부터 운영진이 유저에게 개인적인 메세지를 보낼 수도 있으며, 유저간의 개인적인 메세지를 확인하고 검열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유저들의 패스워드를 전부 리셋할 수도 있으며 MAC주소, 유저의 현재 위치까지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가장 심각한 것은 이 사건으로 인해 Protected User라는 시스템이 있다는 것이 드러났는데, 이 시스템으로 프리미엄, 유명 게임 제작자, 스타 크리에이터 들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우대함으로써 사실상 운영자들이 직접 유저들을 차별하고 있었으며, 이렇게 운영자의 비호를 받는 이들은 제재도 당하지 않는다는 점이 폭로된 사건도 있었습니다.
* 이밖에도 과도한 채팅검열, 모바일 플레이 문제 등등 개선해야할 문제점 들도 많은 것이 사실이기에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해가며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